적금 만기 시 최대 1,200만 원을 준다고요?? 청년희망적금은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정부 지원형 적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년희망적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대상자 및 지원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청하기를 바로 원하시면 아래 사진을 클릭해주세요.
목차
- 가입대상
- 가입제한
- 상품내용
- 상품혜택
- 상품가입방법
가입대상
가입대상은 크게 두 가지 조건으로, 나이와 개인소득이 있습니다.
먼저 연령으로는 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은 총 급여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면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대상이 청년인 만큼 나이 조건에서 군필자의 경우에는 해당 복무기간만큼 최대 6년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가입제한
-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금융소득이 2,000만 원 초과 경우
-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경우
상품내용
청년희망적금은 매월 50만원 한도 자유납입이며 만기는 2년입니다. 만기까지 납입한 경우 시중이자+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여기서 '저축장려금은 1년 차 납입액의 2%, 2년 차 납입액의 4%만큼 지원'됩니다.
※ 매월 최대인 50만 원씩 2년간 납입한 경우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상품혜택
청년희망적금은 다양한 혜택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축장려금
시중 이자에 4% 정도의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총이자 수익률은 시중금리 약 2~4% + 저축장려금 4%로 약 6~8% 정도를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이자 소득 비과세
청년희망적금은 소득세 및 지방세 등 이자에 대해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른 청년지원 상품과 중복가입 가능
다른 청년지원 상품의 지원을 받고 있어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예시로 들면,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등 위 상품들과 중복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위의 혜택들을 적용한 청년희망적금은 금리 9.31% 일반적금상품과 유사합니다. 아래의 표를 통해 비교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상품명 | 청년희망적금 | 일반적금(과세상품) |
금리(가정) | 5% | 9.31% |
납입액 | 매월 50만원씩 2년간 납입하여 총 1,200만원 | |
은행이자(세전) | 62.5만원 | 116.4만원 |
이자소득세 | 0원 | 17.9만원 |
저축장려금 | 36만원 | - |
만기시 수령액 | 1,298.5만원 |
- 위 표는 단리 적용 및 2년간 납입금액을 최대로 가정하였습니다.
- 은행 제공금리는 가입시기별, 은행별로 상이할 수 있어서 가정으로 표기하였습니다.
- 이자소득세율은 15.4%(이자소득세 14% + 지방세 1.4%)로 가정한 경우입니다.
상품가입방법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경남, SC은행까지 총 13개의 은행에서 정식 출시되며, 취급하는 은행 중 1개 은행을 선택하여 1개 계좌만 개설가능, 앱을 통한 비대면으로도 가능합니다.
위의 표에서는 연 5% 기본금리로 가정하였으나, 은행별로 우대 금리 조건이 상이(비대면 가입, IRP가입, 주택청약 가입 등의 조건) 하기 때문에 자신의 조건에 가장 유리한 은행을 선택하여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소득 청년을 대상으로 한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자소득세 및 저축장려금 혜택으로 일반적인 적금상품보다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서 매력적인 상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조건이 된다면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경제공부 > 정부혜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방법, 신청대상, 지급금액, 지급일 (0) | 2023.05.03 |
---|---|
소액생계비 대출 신청방법 (0) | 2023.04.05 |
서울시 청년교통비 지원 2023 신청방법 (0) | 2023.04.01 |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