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파킹통장이란?

by 스토리 저장소 2023. 3. 1.
반응형
반응형

파킹통장이란?

주차와 통장의 합성어로, 주차하듯이 언제든지 돈을 넣었다 뺄 수 있는 통장입니다.

주로 인터넷전문은행제2금융권에 속하는 저축은행이 파킹통장을 내놓고는 합니다.

[2023년 2월 기준] 인터넷전문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2%대, 저축은행 파킹통장 금리는 3%대라고 합니다.

 

※인터넷전문은행 : 오프라인 매장 없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영업하는 은행으로써, 국내를 예시로 들자면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 :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으로, 주로 자금의 중개를 담당합니다. 예를 들면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여신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이 있습니다.

 

파킹통장을 왜 이용할까?

금리가 오르면서 경기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언제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 예적금, 채권 등에 돈을 묶어두거나 주식으로 놔두기보다는 언제라도 돈을 쓸 수 있게끔 하려는 의도입니다. 그래서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며, 하루라도 맡겨두면 이자가 발생하는 파킹통장이 요즘 같은 시기에 적합한 것 같습니다.

 

파킹통장을 이용할 때는?

파킹통장의 경우 최고금리가 적용되는 예치금 한도가 정해져 있어서, 큰 금액을 예치해두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5,000만원~1억원 정도까지의 예치금 한도가 정해져있습니다. 최대 5,000만원까지는 예금자 보호가 되기 때문에, 이보다 많은 금액을 파킹 통장에 두고 싶다면 여러 은행에 쪼개서 넣어두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금융사별 파킹통장

토스뱅크, 케이뱅크, OK은행, 웰컴은행, 애큐온은행, SBI은행 등 각 은행에서 내놓은 파킹통장 상품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리 및 한도 등의 정보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각 상품들은 따로 소개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킹통장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파킹통장 가입하실 때 금리만 따라가지 마시고 예치금 한도, 이자지급방식, 가입조건 등의  정보들도 고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더보기

목차

  1. 파킹통장이란?
  2. 파킹통장을 왜 이용할까?
  3. 파킹통장을 이용할 때는?
  4. 금융사별 파킹통장
728x90
반응형

댓글